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제조 AWS를 활용한 Siemens의 에너지, 의료 서비스, 제조 분야 혁신 Siemens가 AWS를 사용하여 어떻게 문화를 바꾸고 혁신을 장려하며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했는지 알아보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업종
aws.amazon.com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AWS사이트에 접속해준다. https://aws.amazon.com/ko/ 사이트 접속했으면, 회원가입한 후에 로그인해준다.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로그인을 하면 나오는 창입니다.
옆에 서울을 누르시면 다른 지역도 나옵니다 거기서 선택해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서비스를 누르면 옆에 모든 서비스가 뜨고 옆에 컴퓨팅이라는 카테고리가 나옵니다 거기에서 바로 아래 EC2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EC2 들어와서 인스턴스에 들어온 화면입니다.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된다.
EC2서버에서 사용할 운영체제를 선택한다. 프리티어로 하지 않으면 과금이 되니 주의해야한다. 필자는 우분투 서버 18.04를 사용했다.
인스턴스 유형은 프리티어 사용 가능한 t2.micro를 선택한다. 선택하였으면 다음 버튼을 눌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간다.
3단계는 굳이 건드릴께 없으니 건들지 말고 바로 4단계로 옵니다.
그리고 용량을 늘리고 싶으시면 위에 처럼 8기가에서 30기가까지 늘릴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5단계는 태그 할 사람만 하시면 됩니다! 6단계는 EC2 가상 서버에 접속할 포트 번호들을 열어주면 된다. 모든 설정을 마쳤으면 검토한 후 시작하면 됩니다
시작 버튼을 누르면 키 페어 생성창이 나타난다. 이 키페어 파일이 있어야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니 다운로드하여 잘 보관해주면 됩니다.
인스턴스 버튼을 눌러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잘 생성되었으면 위와 같은 화면에서 '실행 중'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EC2서버에 접속할 다른 포트를 추가하고 싶으면
인스턴스 ID - 보안 - 보안 그룹 ID -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순서대로 클릭하여 추가해 줄 수 있습니다.